목록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은퇴 (Retirement) (8)
PlanDoctor’s Blog

노인 10명 4명이 빈곤층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올라가고 있고 저출산 문제로 인구불균형 문제까지 심각한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운용 실적은 떨어지니 노후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2020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43.4%인데 이는 OECD 평균 보다 3배 이상 높다. 적정생활비를 137만 원으로 보는데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수령 노인들의 평균 수급금액은 39.8만 원에 불과하니 스스로 노후 준비를 하지 않으면 재앙이 되어 다가오는 것이 예견된 현실인 것이다. 우리나라 노후 보장제도 우리나라의 노후보장 제도는 3층 연금체계로 표현되는데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구성된다. 국민연금은 소득이 있을 경우 의무가입하는 제도이고 근로소득이 있을 경우 안정적인 생활을 위하여 퇴직연금이 자동가입된다..

연금이란 은퇴후 소득상실로 생활상 어려움에 대비할 수 있는 제도로, 경제활동기간 동안 소득의 일부를 납부하고 노후, 퇴직, 재해, 사망 등이 발생했을 때 지급받는 금전을 말한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이 의무가입인 사회보험이라면 개인연금은 개인이 스스로 일시납 또는 적립식의 형태로 가입하는 금융상품이다. 개인연금은 은행, 생명보험회사, 손해보험회사, 투자신탁회사 등을 통해 가입할 수 있는데,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연금보험 등 종류가 다양하다. 보험사에서는 (일반)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으로 나눌 수 있다.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세제혜택을 받는 시점이다. 연금저축보험은 매년 연말정산(또는 종합소득신고) 때 세액공제를 받는 세액공제 상품이고 연금보험은 최종 연금 수..

연금보험의 경우 보험사에서 판매되는 장기저축성보험으로서 통상 세제비적격 연금이라고도 불리며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보험차익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장기저축성보험 보험차익 비과세 요건] 구분 내용 이자소득세 비과세 일시납 보험 - 계약기간 10년 이상 - 1인당 납입 한도 2억원 (2017년 4월 이전), 1억원 (2017년 4월 이후) 월적립식 보험 - 계약기간 10년 이상 - 납입기간 5년 이상 - 월납입 보험료 150만원 이하 종신형 연금보험 - 계약자 = 피보험자 = 수익자 - 55세 이후 연금 개시 - 사망시 보험계약/연금지급 재원의 소멸 - 보증 지급기간 ≤ 기대 여명 - 매년 수령연금이 일정 한도 이내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세제 비적격 연금보험 은 계약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소득세법..

연금 저축은 납입하는 동안 세액공제를 받고 연금 수령시 소득세 를 납부하게 되는 금융상품이다. [연금저축의 특징] 구분 내용 납입한도 연간 180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납 판매회사 은행 : 연금저축신탁 (2018년 부터 판매중지) 증권 : 연금저축펀드 보험 : 연금저축보험 납입 한도는 1800만 원 한도에서 일시납 또는 분할해서 납부 가능한 자유납이다. 은행 , 보험, 증권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금융기관 특성에 맞게 적립금 운용 방식이 다르다. 은행상품에는 신탁 개념이 들어가 있고 증권사 상품에는 펀드 개념, 보험사 상품에는 안정적인 이율 개념으로 운용을 하고 있지만 은행상품 (연금저축신탁) 의 경우 2018년 판매가 중지 되었다. 연금저축 상품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었던 시절에는 고소득자 들에게 상대적으..